반응형
도서 <친애하는 주주들에게> 중.
장기적인 관점을 강조한 아마존 2012년 주주서한.
개선을 just in time으로 분배하려는 것은 약삭빠른 짓. 장기적인 사고란 불가능한 일을 시도하는 것. 고객을 기쁘게 만들면 신뢰를 얻고 그로 인해 더 많은 비즈니스를 창출 가능. 결국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면 고객의 이해관계와 주주의 이해관계가 같은 길을 갈 것
![](https://blog.kakaocdn.net/dn/bbuNfe/btsLFDyQ6XW/8mVTQN9R6BIgWPa11d8gwk/tfile.jpg)
어제 CES에서 엔비디아 CEO, 젠슨황의 키노트 스피치 역시 같은 방향으로 느껴짐. 새로운 것을 끊임없이 시도하는 것. 국내 기업들과의 근본적인 차이점. 장기적인 시각을 가질 수 있느냐 없느냐를 만드는 포인트
반응형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포탐욕지수 설명(Fear and Greed Index) (1) | 2025.01.29 |
---|---|
미국 주식 시가총액 상위 32개 기업 (25.1.29) (0) | 2025.01.29 |
베타 계수와 리스크 (0) | 2024.11.24 |
Copart(코파트, CPRT) 24.11.21 실적 (3) | 2024.11.23 |
TransDigm Group(트랜스다임 그룹, TDG) IR presentation - 24.11.7 (2) | 2024.11.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