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중7

신축 과정 정리 #8 - 외장 마감, 통신선 정리 12월초 드디어 비계를 해체했습니다. 전신주를 뽑아버리고 싶군요ㅠㅠ. 지저분한 공중선들이라도 정리하고 싶어 KT와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 공중선민원콜센터 (1588-2498)에 통신선 정리를 요청했는데 SK, LG는 사용하지 않는 통신선 정리를 해주셨는데 KT는 아직 깜깜 무소식이네요. 걱정했던 세로 롱브릭타일은 다행히 잘 시공이 된 것 같습니다. 4층만 가로로 시공한 것도 이질감없이 표현이 된 것 같구요. 일단 걱정했던 두 가지가 잘 해소되어 기뻤습니다. 2022.11.29 - [투자/신축 사업] - 소담 - 신축 과정 정리 #6 - 내부 공사 및 외부 마감재 결정 가스가 인입되었고, 다락계단도 설치가 되었습니다. 다락 계단에 콘센트가 뽑혀있어서 옆으로 옮겼으면 좋겠다고 했더니 구조상 어렵다고 하네요. 계.. 2023. 2. 1.
신축 과정 정리 #6 - 내부 공사 및 외부 마감재 결정 10월에는 본격적으로 내부 공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간 잘 방문하지 않던 현장도 눈에 보이는 것들이 진행되기 시작하니 자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TK 엘리베이터 10월에 작업한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방통 (방바닥 통미장) 작업 - 내부 미장 - 에어컨 공사 - 전기 공사 - 엘리베이터 공사 - 목수 벽천장 작업 - 창틀 철판 작업 외부 마감도 준비를 하며, 롱브릭 타일을 세로로 시공하는 것에 대해 시공사와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습니다. 4층이 일조사선으로 약간 후퇴하기에 조금 더 애매하게 느껴졌지만 저는 세로 시공을 원했고, 시공사에서는 세로 시공에 대한 난이도가 높은 점, 제품 자체가 휜 부분이 있어서 울어보일 수 있다는 우려로 가로 시공을 권장하였습니다. 시공사의 의견에 해당 자재 업체 대표.. 2022. 11. 29.
신축 과정 정리 #5 - 내부 둘러보기 추석 직전 지붕층까지 콘크리트 타설이 완료되었습니다. 준공후에도 올라가볼 일이 없을 지붕 위 모습을 소장님께서 보내주셨습니다. 괜히 한 층 더 높게 지을 걸 그랬나 욕심이 듭니다.^^ 골조가 완료되고 소장님과 시간을 조율해 내부를 한 번 둘러볼 시간을 가졌습니다. 공간감, 채광, 시공 상황 등 대략적으로 체크해보면서 내부 마감재, 조명 등에 대해 한 번 더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해 방문했습니다. 시공사 측에서 동네분들이 너무 좋으시다고 말씀주셔서 저도 기분이 좋았습니다. 인접 건물과 가까운 쪽으로 계단실이 위치해있습니다. 비록 벽이 보이지만, 생각보다는 창문이 넓게 빠진 것 같아 시원스럽게 보였습니다. 시공사 측에서 계단실을 노출 콘크리트로 진행하고 조명에 포인트 줄 것을 제안주셨는데, 본래 안대로 깔.. 2022. 10. 3.
택지에 신축하는 것에 대해 고민했던 것 택지에 신축하는 것에 대해서, 실거주에 대해서 등등 혼자 넋두리를 하다가 내가 생각하는 포지션이 무엇인가 모호하게 느껴져서 생각을 글로 정리해본다. 나중에 뭘 고민했었나 흔적이 남아있으면 좋을 것 같아서. # 계기 신축을 경험해보면서 1층 근생 공간 활용에 대해 고민을 하게 되었다. - 입지: 상가가 들어올만한 곳, 상가가 들어와서 영업이 잘 될만한 곳을 찾는 것 - 투자금: 가용한 투자금 내에서 그런 입지를 찾는 것 (투자금이 꼭 많이 필요할 것이란 '편견'을 가지고 찾아볼 노력도 안 한 것 같다. 또는 빨리 해봐야겠다는 조급함 때문에 포기했거나) - 사업: 사업 아이템을 가지고 내가 직접 운영해보는 것. 이 경우 입지가 주거지에서 너무 멀면 어렵겠다고 생각 (무인 시스템이더라도...) 또, 내가 살 .. 2022. 9. 30.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 신축에 미칠 영향 얼마 전 9월 1일, 전세사기 피해 방지방안이 발표되었는데, 신축에 영향을 미칠 부분들이 있다. 가장 눈에 들어오는 것은 최우선 변제금액 상향인데, 이에 따라 방공제금액 역시 커질 것이고 투자금 회수 폭이 현저히 줄어들 수 있다는 의미가 된다. 21년에 최우선 변제금액이 서울 기준 3700만원에서 5000만원으로 큰 폭으로 상향이 되었고, 방공제 금액이 이렇게 높아졌다는 것을 뒤늦게 알았을 때도 충격이었는데, 더 높아진다니...면적 대비 방 개수가 많은 구성일수록 충격은 클 수 있겠다. 다음으로는 전세보증금에 관한 내용으로, 이전 글에서 다뤘듯이, 단독/다가구의 보증한도가 크지 않다. 보증한도를 계산하는 기준은 여러가지가 있으나, 주택가격을 활용하며, 단독/다가구 기준으로 HUG는 150%를 반영한다. .. 2022. 9. 7.
단독/다가구 주택에 걸림돌 같은 전세보증금 반환보증 전세보증금이 커질수록 보증금 반환을 보증받고자 하는 임차인의 니즈는 커질 것이다. 서울 기준으로 보증 기관은 주택도시보증공사(HUG)와 주택금융공사(HF), 서울보증(SGI) 세 군데가 있는데, 단독/다가구 같은 경우 보증한도가 크지 않다고 해 어느 정도 수준인지 확인해보았다. 우선 다중주택은 보증이 안 되는 경우가 있다고 해 먼저 체크해보았다. - SGI는 홈페이지에 설명이 없어서 영등포지점에 전화문의를 해보았는데, 단독/다가구는 실제로는 보증 가입이 거의 어렵다고 생각하는게 좋다라고 이야기한다. 하지만, 보증료율이 조금 높을 뿐 단독/다가구도 SGI로 전세 보증을 받는 경우가 있는 것 같아 사용하고자할 때 정확히 확인하는게 좋겠다.- HF의 경우에는 가능하다고한다. 단독/다가구의 경우 가격 제한이 있.. 2022. 9.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