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주5 건축주와 건물주 사이 - 자잘하게 챙긴 것들 사용승인이 난 이후로 하자보수로 씨름을 하고 있고, 임차하실 분도 열심히 구하고 있습니다. 글로 정리해두고 싶은 것들이 꽤 있는데 개인사가 바쁘다 보니 미루면서 까먹고 있습니다. 가볍게 정리할 수 있는 것들 커피 한 잔 하며 정리합니다. 아주 사소한 것도 건물을 임대하려는 입장이 되니 물음표가 달리는 것들이 많습니다. 가장 먼저 쓰레기 배출 문제가 떠올랐구요. 분리 수거함은 설치했는데 이걸 누가 어떻게 가져가는지, 각 칸에 망을 설치해야하는게 좋을지, 비닐을 설치하는게 좋을지, 사이즈는 어떤 걸 해야할지도 모르겠어서 청소업체에 문의했더니 150리터 비닐을 준비해두면 오실 때 정리해서 내놔주시겠다고 합니다. 쿠팡에서 잽싸게 주문(아래)해 분리수거함 고리에 걸어두었습니다. 청소업체에서 주 1회 방문해주실 때.. 2023. 3. 14. 신축 사업에 대한 기대와 현재 올해 초에 구옥을 매수하여 신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사이 자산 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건축비 인상, 금리 인상, 전세 사기 이슈와 겹쳐 전세 수요 급감, 부동산 시장 전반적인 하락세 등등. 온갖 어려운 환경을 고스란히 마주하며 신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부동산 매도가 어려웠던 것부터 건축비 인상 등 많은 위험 시그널들을 너무 쉽게 흘려보낸 것은 아니었나 생각해보며, 처음 기대했던 것과 진행하면서 느끼고 있는 것들 정리해봅니다. # 주택 신축, 무엇이 매력적이었나 처음 신축 공부를 하던 2021년부터 조합원 입주권 매물 두 개를 내놓았습니다. 각각 2022년, 2023년 입주 예정이었기에 입주 전에 일반 과세로 매도를 하겠다는 생각이었죠. 매도 계획도 여유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매도.. 2022. 11. 25. 건축공사 관계자 착공 전 안전 교육 건축허가 완료 후 '건축공사 관계자 착공 전 안전 교육'을 이수하고 수료증을 제출해야 착공이 가능한 지자체가 있다. 서울의 경우 코로나 대응을 위해 한시적으로 '서울시 평생학습포털'(https://sll.seoul.go.kr/)을 통해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건축주의 경우는 구청에 따라 제출이 필요한 곳도 있고, 권장사항인 곳도 있는 듯 하니 건축허가를 받았을 때 교부받은 일반조건 안내문을 참고하는 것이 좋겠다. 포털에 접속 후 우측 상단의 검색창에서 건축공사 관계자 착공 전 안전교육을 검색해서 교육을 수강하면 된다. 교육 페이지에 학습자료가 pdf로 첨부되어 있는데 다운로드 받아두었다가 한번쯤 훑어보면 궁금한 사항들 해소하는데 도움이 될 수도 있겠다. 2022. 6. 9. 설계안에서 타협점을 찾기 - 용적률을 꽉 채우는 것만이 능사일까? 용적률을 꽉 채울 수 있는 땅을 찾고, 설계 시에도 용적률을 꽉꽉 채워줄 설계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된다. 용적률 = 수익률로 통하기 때문이다. 신축 진행 중인 물건도 용적률을 꽉 채울 수 있는 옵션들이 있었지만, 설계 최종안은 용적률 195%가 되었다. 방 크기도 미세하게나마 처음 안보다 줄어들었다. 방의 구성, 건축비, 주차 공간 등 여러가지 요소를 고려한 결과다. 그중 무엇보다 방의 구성 변경에 따른 수익 증대 기대 부분과, 건축비 절감이 컸다. 예전 글에서 언급했던 것처럼 해당 부지는 필로티 형태의 주차공간이 반드시 필요했다. 처음 계획했던 방 개수로는 2대만 주차할 수 있으면 됐지만, 처음 안으로는 3대가 가능했다.(아래 참고) 1, 2층을 사무실로 하고, 나머지 5층까지는 주택으로써 동일한 크기.. 2022. 5. 1. 건물 구경하기 #1 - 수원 신동 카페거리 건물주, 건축주를 꿈꾸며 마음에 드는 건물부터 틈틈이 눈에 담아보기로 했다. 수원의 신동택지지구로 카페거리 주변으로는 2015년경에 지어진 건물들이 많다. 삼성전자 수원 사업장과 바로 붙어있는 택지지구이기도 하고, 배후로는 대규모 아파트 단지들이 지속적으로 들어오면서 새로운 주거단지가 형성되어가고 있는 중이다. 눈으로 보기에 규모가 다를 것이라 생각했던 건물들이 디스코를 통해 건축물 현황을 살펴보면 비슷한 규모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보고 외관 역시 큰 영향을 준다고 느꼈다. 2021. 9. 11.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