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애플8

미국 3조 클럽 주식들의 순위 변화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약 6개월여 1위 탈환 경쟁이 치열하다 시가 총액을 신경쓰는 것은 1등주에 포트폴리오의 상당부분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 조던 룰 정리 - 세계 1등 주식에 안심하고 투자하기* 최종 업데이트일 : 24.07.27조던 김장섭님의 저서 내일의 부, 부의 체인저, 지속적으로 기회 잡는 법 및 카페(cafe.daum.net/jordan777)의 글에 소개된 투자법을 기반으로 하되, 저한테 조금 더 맞는 방식richhuman.tistory.com 시가 총액 순위 변화가 심하면, 포트폴리오 운용이 까다로워 진다. 그래서 3조 클럽에 모두 투자하는 방법을 택했다.  시총 2위는 NVIDIA (feat. 1등주 투자)Nvidia closes above $3 trillion for firs.. 2025. 1. 30.
미국 시총 1-2등 갭 차이와 시총 1등 투자 현재(24.4.13) 미국 시가총액 1,2등간의 차이를 그래프로 뽑았습니다.  포트폴리오의 일부를 조던 김장섭님의 세계 1등주 투자 방식을 응용해 투자를 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올해 1월 시가총액 1, 2위가 바뀌었고, 이에 대한 제 대응 시나리오가 미비해서 중간 체크를 해봤습니다. 조던님은 1, 2위가 바뀌면 즉시 50%를 새로운 1등주로 변경하여 1, 2등주를 절반씩 보유하다가, 시가총액 차이가 10% 이상 벌어질 경우 전부 새 1등주로 변경하는 전략인데, 저는 새 1등주가 급등후 또 1, 2위가 빠르게 변경될 수 있지 않을까하는 우려(위 그래프의 2021년처럼)에 절대적인 시간을 3개월을 부여해보고자 했었습니다. (단기 손실이 더 발생하더라도 회전율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운용해보고자함이 목적)  조.. 2024. 4. 13.
사과 줍기 - AAPU 크지 않은 금액이지만 애플(티커: AAPL)을 사모으고 있습니다. 신축을 하기 위해 주식을 상당 부분 내다 팔았다가 자금이 생긴 뒤로도 달러가 너무 강세라 달러를 다시 살 엄두는 못 내고 포트폴리오를 정리하면서 달러로 보유하고 있었습니다. 주식을 잘 몰라서 그냥 미국 시가총액 1위 기업을 삽니다. 마삼(-3%룰)로 잘 알려진 조던님의 방법을 조금 변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조던님이 업데이트한 방법은 따르지 않습니다. (단지 저는 거래를 빈번하게 하는게 싫어서 그런 것이지 옳고 그르고의 판단같은건 아닙니다.) -3%가 떠도 나스닥 종합지수나 애플 둘 중 하나라도 전고점 대비 이미 10%이상 하락했다면 매도하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최근에는 팔 일은 없었네요. (아래 링크 참고) 시총 세계 1등주 .. 2022. 11. 5.
개별종목 레버리지 ETF - 애플, 테슬라 애플과 테슬라 개별 종목에 대한 1.5배(일간 변동률 추종) 가량의 레버리지 ETF가 출시된 모양이다. 이것저것 섞지 않고, 내가 장기로 가져가고 싶은 종목 하나만 골라 레버리지를 쓸 수 있다는 큰 매력이 있다. 레버리지 ETF로 유명한 Direxion에서 1.5배 ETF와 인버스 ETF를 내었고, GraniteShares라는 곳에서도 비슷한 상품을 출시했다. (아래 참고) AAPL (애플) x1.75 = AAPB (GraniteShares) 평균 거래량 6,223 x1.5 = AAPU (Direxion) 평균 거래량 18,952 -x1 = AAPD (Direxion) TSLA (테슬라) x1.25 = TSL (GraniteShares) 평균 거래량 8,178 -x1 = TSLI (GraniteShare.. 2022. 8. 21.
시총 세계 1등주 가격 움직임 (2011년~, 나스닥 -3% 구간) 주식의 대부분을 조던룰을 따라 운용하고 있다. 주식을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큰 손실폭에 어떻게 대응할 것이냐 / 왜 세계 1등주냐 등 투자 아이디어가 설득력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3%가 뜨는 일이 빈번해지자 (정확히는 얼마나 빈번하게 뜰지 생각 안 했다. 많지 않으리라 "믿었다") 그 시기에 대응하는 것이 꽤나 스트레스로 다가왔다. 그리고 그렇게 대응한 것이 결과가 항상 훌륭하지는 못 했다. 연준의 개입을 필두로 대선, 금리 이슈 등 각종 이벤트에 휩쓸리게 되고 FOMO를 두려워하는 일이 빈번하게 생겼다. 실제로 -3% 떴을 때 판 가격보다 비싸게 다시 사야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하고, 그에 대해 각종 대응 방법이 조던님 카페에 업데이트되고 있다. 대응 방법이 효과적이다 그렇지 않다를 떠나, 나한테도.. 2021. 4. 16.
미국 경기부양책 및 대선에 따른 주가 변화 기록해두기 작년 하반기부터 나스닥 및 1등주 주가 변화를 복기하며 기록해둔다. 주가의 변동은 생각대로 움직이는 법이 없어서 무섭다. 해석하는 이들 마음대로다. 변동성 지수(VIX)가 코로나 이후 20 이하로 떨어지는 법이 없는 여전히 변동성 강한 시장이라는 것을 잊곤 한다. 지난 9월초 나스닥이 -3% 하락(9/3, 10/28 -3% 시작)한 이후로 경기부양책과 대선이 주가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대선이 누가 되면 증시에 유리하냐 말이 많았지만 그저 불확실성이 사라지면서 올랐다가, 이제 블루웨이브가 완성되어서 조정받고 있다고 한다. 이제 주가에 악재는 모두 반영되었다고는 하는데 지켜볼 일이다. 1등주 위주로 투자를 하는데 급등할 때마다 FOMO를 두려워하게 된다. 주식을 투자해보기로 했을 때 '잃지 말자'라고 다짐.. 2021. 1.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