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하나의 기업이 여러 티커를 가지는 경우가 있는데 차등의결권 때문인 경우가 있음. 장기적인 안목에서의 전략 안정성, 독립성, 핵심 경영진의 경영권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 구글
Class A (Ticker:GOOGL) : 주당 하나의 의결권
Class B : 창립자들 소유, Class A의 10배에 해당하는 의결권
Class C (Ticker:GOOG) : 의결권 없음
Class A와 C의 차이는 거의 없으나 10년 주가를 보면 미세하게 차이가있음
# 버크셔해서웨이
Class A (Ticker:BRK.A) : 주당 하나의 의결권
Class B (Ticker:BRK.B) : Class A의 1/10,000의 의결권, 가격은 A의 1/1,500
(B는 A로 변환 불가, A는 B로 변환 가능)
A의 주가는 무려 $781,680 vs B의 주가는 $521.91 (25.3.21기준), 주가 흐름은 거의 동일
반응형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Ferrari(페라리) - 미국 관세 인상 관련해 (1) | 2025.03.28 |
---|---|
ROE와 WACC(가중평균자본비용) (1) | 2025.03.22 |
Lotus Bakery(LOTB) (2) | 2025.03.06 |
The Trade Desk(TTD), 매수하기에 성과가 안 좋았던 소프트웨어 주식 중 하나 (0) | 2025.03.03 |
NVDIA. 조던룰 (0) | 2025.03.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