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

ROE와 WACC(가중평균자본비용)

by 부자 사람 2025. 3. 22.
반응형

ROE(자기자본 수익률)과 WACC(가중평균자본비용)의 스프레드가 줄어들면, 동일한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투하 자본을 키우거나 매출이 더 성장해야한다.
 
# WACC가 뭔데?
- 주주 : 내가 투자한 만큼 최소한 연 10%는 벌어야 해
- 은행 : 빌려준 돈에 대해 연 5% 이자는 받아야 해
- 기업 : 그럼 이 둘을 평균해서 '7% 이상 수익을 내야 하는구나' -> 이게 WACC
즉, 자기자본(주식 발행해서 얻은 돈)과 타인자본(채권,대출)을 비율대로 가중 평균한 것으로, 기업이 달성해야할 최소한의 수익률(hurdle rate)이 WACC. 당연히 실제 수익률(ROE)과 hurdle rate(WACC)의 차이인 스프레드가 줄면 동일한 이윤을 창출하기 어려워 지는 것. 매출이 성장하거나 투하 자본이 늘거나
 

WACC의 공식: 
WACC = (E/V) * Re + (D/V) * Rd * (1 - Tc)
 
- E = 자기자본
- D = 타인자본
- V = 총 자본 (E + D)
- Re = 자기자본 비용 = 주주의 기대 수익률
- Rd = 부채 비용 = 이자율
- Tc = 법인세율

친애하는 주주들에게 중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