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IC (Return On Invested Capital) = 세후영업이익(NOPAT) / 투하자본
- NOPAT = 영업이익 * (1 - 법인세율)
= Net Operating Profit After Tax (세후 영업이익)
- 투하자본 = 유형자산 + 무형자산 + 순운전자본(매출채권 + 재고자산 - 매입채무 등) + 기타자산
= 영업용 총자산 - 비이자부채
= 자기자본 + 유이자부채(차입금 등) - 비영업용 자산
ROE (Return On Equity) = 순이익 / 자기자본
- 순이익 = NOPAT + 영업외수익 - 영업외 비용 - 금융비용(이자비용 등)
= 영업이익 - 법인세 비용 + 영업외수익 - 영업외 비용 - 금융비용(이자비용 등)
- 자기자본 = 총자산 - 총부채
자본 대비 이익률 | ROIC | ROE |
이익 | NOPAT | NOPAT + 영업 외 수익 - 영업 외 비용 - 금융비용(이자비용 등) |
자본 | 자기자본 + 유이자부채(차입금 등) - 비영업용 자산 | 자기자본 |
ROE = ROIC * '재무 레버리지'로 표현할 수 있을만큼 부채를 많이 활용하는 경우 ROE가 ROIC가 커질 수 있음. (분모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경우) ROIC가 조달금리(WACC)보다 높다면 부채를 적절히 활용하는 것이 도움 되나, 부채 영향을 제외한 사업 본연의 수익성을 보려면 ROIC가 유용함.
ROE와 WACC(가중평균자본비용)
ROE(자기자본 수익률)과 WACC(가중평균자본비용)의 스프레드가 줄어들면, 동일한 이윤을 창출하기 위해서는 투하 자본을 키우거나 매출이 더 성장해야한다. # WACC가 뭔데?- 주주 : 내가 투자한 만
richhuman.tistory.com
이례적으로 ROIC가 ROE보다 높은 경우가 발견되는데, 재무 포털에서 보여주는 ROIC가 포털마다 다르기도 해 해당 포털의 ROIC가 어떻게 계산된 것인지 보면 도움이 될 것 같은데, 차이를 알기가 쉽지는 않음. 국내 주식은 보다보면 ROIC가 ROE보다 높은 경우가 특히 많이 발견되는데 유심히 공부해봐야하겠음.
ROIC가 ROE가 높게 나올 수 있는 상황은 ...
1. 영업외 손실이나 일회성 비용이 큰 경우, ROIC의 경우 분자가 작아짐
2. 부채 비율이 매우 낮거나 부채가 거의 없는 경우, 분모는 거의 비슷하나 ROE의 경우 분자가 줄어들 수 있음, 특히 1번처럼 영업외 손실이 크면 두드러지는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
3. 유상증자, 이익잉여금 누적등으로 자기자본이 급격히 늘어났는데 영업에 투입되지 않고 비영업용 자산으로 남겨진다면 ROIC의 분모가 줄어들 수 있음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애플(AAPL) SWOT 분석 보고서: AI 시대의 기회와 도전 (1) | 2025.07.19 |
---|---|
TTD(The Trade Desk) S&P500 편입 (1) | 2025.07.15 |
넷플릭스 & 페라리 (We study billionaires) (0) | 2025.05.05 |
Apple Pay가 PayPal보다 성장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0) | 2025.05.02 |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IR - FY25 Q3 (0) | 2025.05.0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