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주식91

4차 산업시대의 리츠 삼프로TV (경제의 신과 함께)에서 리츠를 다루었다. 채상욱, 윤승현님이 리츠 관련한 책을 출간했나보다. "미국 리츠로 4차 산업 건물주가 되라" 미국 리츠에 대한 이야기이기 보다 리츠의 속성에 대해 간단히 다루는 정도로 이야기가 이루어졌다. 이야기의 요지는 성장형 리츠에 주목하라는 것이다. 그럼 성장형 리츠는 무엇인가? 리츠가 수익률을 올리는 방법은 내부 성장과 외부 성장으로 구분한다. 내부 성장은 리츠가 보유하고 있는 임대수익의 증가 또는 공실의 감소를 의미하는 한편, 외부 성장은 자산가치가 뛰어산 신규 부동산을 자산에 편입시키거나, 자산 가치가 증대된 부동산의 매각 차익을 실현하므로써 그 차익에 대해 특별 배당을 기대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리츠는 수익의 90%를 의무 배당해야한다) 여기서 외.. 2020. 8. 9.
주식차트 보는 법 복잡하기만한 주식차트, 처음 HTS를 깔았을 때 너무 현란해서 MTS로만 보고있다. 차트를 어떻게 보는지 찾아보았다. (키움증권 이용중 :)) 아래 차트를 보면, 여러 개의 파란 막대, 빨간 막대와 각기 다른 색으로 그려진 선 그래프가 있다. 여기서 파란 막대와 빨간 막대를 '봉'이라고한다. 파란 막대를 음봉이라고 하고, 빨간 막대를 양봉이라 한다. 각 봉은 특정 기간 동안의 주가의 변화를 표시하는데, 차트를 제공하는 증권사마다 기간의 단위는 조금씩 다르게 제공하는 것으로 보인다. 일봉(Day), 주봉(Week), 월봉(Month), 분봉(Minutes) 등으로 제공하기도 하는 것 같고, 내가 사용중인 키움증권 같은 경우는 일, 분, 틱 단위로 제공한다. 가장 많이 보는 '일'을 기본 단위로 한 경우 하.. 2020. 8. 1.
시가총액 순위가 바뀌었다 - 시가총액 찾아보는 법 애플이 실적발표 후 주가가 10% 이상 급상승하면서 처음으로 400불대에 진입했다. 기존에 2위권과 시가총액 차이가 10%를 넘어서지 않았는데, 애플 주가의 가파른 상승으로 2위권과 격차가 14% 가까이 벌어졌고, 아마존이 마이크로소프트를 제치고 2위로 올라섰다. 시가총액 순위를 보고 싶다면, 키움증권 앱 기준으로 아래와 같이 확인 가능하다 키움증권앱 > 해외주식 > 시세 > 순위검색 > 시가총액 상위 선택 2020. 8. 1.
해외 주식 어떻게 사나요? - 주린이 해외 주식을 사볼까? 계좌를 튼지 몇 달이 지났다. 여태까지 한 주만 매수해봤다가, 어제 조금 더 사봤다. 키움증권을 이용하는데, 사야지라고 마음 먹었는데 주문이 안 되어서 한참 헤맸다. 한 번 해봤는데도 익숙하지가 않다. 주문을 눌렀는데 주문이 안 되고 예약을 하라고 한다. 예약을 했는데 주문예약이 안 들어간다. 음....가격을 바꿔보고 해도 안 된다. [환전과 원화주문 시스템 그리고 시간] 일단 해외주식을 사려면 환전이 필요하다. 원화주문 서비스를 신청해두었기에 자동으로 환전이 되겠거니 했는데, 환전없이 주문 가능한 시간이 정해져 있다. 원화주문 서비스는 별도의 환전 및 환율 계산없이 원화 기준으로 매수, 매도를 할 수 있도록하는 서비스다. 오후 7시반에 출금가능한 원화 전액이 원화주문 설정금으로 지.. 2020. 7. 22.
리츠정보시스템과 부동산 투자회사의 종류 살펴보기 리츠에 대해 찾다보니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리츠정보시스템이 있다. 공모 리츠의 청약 일정부터, 통계자료, 리츠에 대한 간단한 소개까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http://reits.molit.go.kr/main/main/openMain.do 리츠정보시스템 회사명 청약일정 reits.molit.go.kr 아래와 같다. 메인 화면에는 공모현황이 우선 눈에 띈다. 공모 리츠의 회사명과 청약일정이 나온다. 회사명을 클릭하면 자세한 모집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주당 모집가액, 모집 방법, 납입 기일, 청약 장소, 사업 계획과 투자설명서 등 청약에 필요한 내용들을 담고 있다. 첫번째 탭인 리츠제도를 클릭하면 리츠에 대해 간단히 소개를 하며 리츠의 세제혜택은 어떤 것이 있는지 볼 수 있는데, 개인 투자자에게 특.. 2020. 7. 17.
국내 상장 리츠 살짝 간보기 리츠에 대한 책을 읽어보고도 어떻게 투자해야할까에 대해서 방향이 안 잡힌다. 국내 리츠에 투자하는게 맞을까? 해외 리츠에 투자하는게 좋을까? 어떻게 종목을 고르는게 좋을까? 세금 문제도 봐야하고. 우선 책에 소개되었던 국내 주요 공모리츠의 주가를 확인해보았다. 리츠도 코로나 사태를 겪으며 주가가 많이 떨어졌다가 조금 반등을 보였지만, 아직 반등의 기미를 못 보이는 종목 두 개가 눈에 띈다. 왜 그런지 대략 찾아보았다. 해당 종목은 모두투어리츠(204210)와 NH프라임리츠(338100)다. 먼저, 모두투어리츠는 모두투어그룹이 AMC에 위탁하지 않고, 직접 운영하는 리츠이며 주요 투자 자산은 호텔이다. 스타즈 호텔이라는 다소 생소한 브랜드인데, 명동, 동탄, 독산 등에 위치하고 있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 2020. 7.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