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미국 주식12

1년 정산 - 1등주 투자 vs 배당주 투자 주식 투자를 한 지 1년 약간 넘은 것 같다. 미국 주식을 주로 투자 했고 1등주 투자, 배당주 투자, ETF 투자(연금저축) 세 개의 계좌를 만들어 테스트 성격의 투자를 했다. (처음엔 한국 주식 계좌도 돌리다가 관리 포인트가 많아져서 미국 주식에만 집중하기로 했다.) 투자의 결과를 1년여의 투자 결과만으로 단정짓기에는 '아주 많은' 무리가 있지만, 몸소 경험한 두 가지 투자의 장단점을 놓고 다음 투자 플랜을 계획해보려한다. 1등주 투자로는 세전 약 47%의 수익률을 기록한 반면, 배당주는 매월 받았던 배당금을 전액 재투자했음에도 달러화 기준으로는 살짝 (-)를 기록했다. 환율 덕에 원화로는 수익율이 (+)로 전환되었지만. 신축 사업을 위한 투자금으로 쓰기 위해 수익금액을 제외한 모든 금액을 원화로 회.. 2022. 2. 6.
세계 1등주 주가 하락시 대응 방법 일부 수정 에 소개된 방법으로 작년 7월경부터 세계 1등 주식에 투자를 하고 있다. 현재 시가총액 1위인 애플의 주식은 고점을 찍은 뒤로 고점 기준 약 15% 하락한 상태다. 나스닥 종합지수는 미국 국채 금리 상승 이슈로 이번 주 -3.5%를 기록하기도했다. 조던 룰에 따라 두 가지 행동을 했는데, 조금 임기응변적인 대응이 필요한 좋은 케이스를 겪어서 향후 대응 방안으로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것을 정리했다. 헷지 수단이나 디테일한 부분은 개인의 판단을 요하는 것이 많기에 나만의 기준들을 세워두고 싶어서이다. 첫번째 룰은 나스닥 -3% 이상 하락시 전량 매도후, 일정 비율을 지켜가며 매수하는 것. 두번째 룰은 나스닥 -3% 이상 하락하지 않았는데, 1등주가 -10%이상 하락할 경우 1등주 보유 비중의 20%를 QQQ로.. 2021. 2. 27.
미국 주식 백테스트(Backtest ) 해보는 방법 Backtest는 주어진 포트폴리오로 과거의 역사에 대입해보고 주가의 흐름이나 수익률을 볼 수 있는 방법이다. 아래의 사이트를 이용하면 편리하게 포트폴리오를 세가지로 구성해보고 비교할 수 있다. (사이트에 변경된 내용이 있어 설명을 조금 업데이트 하였습니다. 2021년 7월) www.portfoliovisualizer.com/backtest-portfolio Backtest Portfolio Asset Allocation www.portfoliovisualizer.com ETF나 주식 등을 선택할 수 있으며, 아래 항목들을 조정 또는 볼 수 있다. - 투자 시기 - 초기 투자금 - 적립식 투자금 (월, 분기, 년 단위로 입력가능) - 리밸런싱 주기 - 배당금/분배금 수입 위의 사이트에 접속하면 아래와 같.. 2020. 11. 28.
미국 주식의 목표 주가를 어떻게 봐야할까? 얼마 전 팟캐스트 - '경제의 신과 함께' 방송을 듣던 중, - "미국 주식은 전반적으로 목표 주가를 따라가는 경향이 있다." - "애널리스트들의 평가가 신뢰도가 갖춰진 편이다." - "그래서 목표 주가를 보고 매입 여부를 결정해도 어느 정도 실패를 줄일 수 있다." 라는 얘기를 들었다. 해당 방송에서 MarketBeat와 MarketScreener를 언급해서 한 번 찾아보았다. 두 개의 사이트가 보여주는 목표 주가(Target Price)가 차이가 상당하다. 그리고 해당 사이트 내에서도 다양한 목표 주가가 보여진다. 무엇이 '진짜(?)' 목표 주가인가? 목표 주가는 여러 기관 또는 여러 애널리스트가 각자 관심있는 종목을 분석해서 각각의 기준으로 목표 주가를 예측하기 때문에 목표 주가를 발표하는 시기나 .. 2020. 10. 2.
미국 주식 투자 - 불황을 이기는 가장 확실한 비법 잠든 사이 월급 버는 미국 주식 투자 - 인베스테인먼트 저 (베가북스, 2020년) 최근 들어서 미국 주식시장을 기웃거리고 있다. 7월쯤부터 주식 관련 책들도 보고, 미국 주식도 조금 사보고, 또 이 달 초에 조정도 겪어보고, 공부하기 좋은 시기인 것 같다. 그간 주식에 손을 대지 않았던 이유는 MDD(최대 손실)가 부동산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고 변동성 또한 크기 때문이며, 내가 이런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사람이라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었다. 그럼에도 주식을 해보고자 생각하게 된 것은 올해 초에 조던 김장섭 님의 책, '내일의 부'를 읽어보고 나서 이런 방법이라면 나도 해볼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잃지 않는 방법에 대한 저자만의 방법이 내가 받아들일 수 있는 논리였기 때문이다. 문제.. 2020. 9. 25.
경기침체 방어주 10선 SeekingAlpha라는 사이트에서 흥미로운 컬럼이 있어서 읽어보았다. Financially Free Investor라는 필명의 개인 투자자가 쓴 컬럼인데, 경기침체에 강한 10개의 기업을 자신만의 기준으로 필터링했다. 이번 코로나 팬데믹을 포함해 2007년부터 있었던 4번의 리세션 기간(자세한 기간은 아래 참고)에 S&P500 보다 높은 수익률을 기록한 25개 종목을 필터링하고, 그 중에 적당한 성장성과 안정성을 지닌다고 판단되는 10개 종목을 추렸다. 배당주를 선정하는 방법적인 측면에서 벤치마킹할만해 정리해 보았다. 원문은 아래를 참고할 수 있다. seekingalpha.com/article/4371137-retirement-10-recession-proof-dgi-stocks-almost # 25.. 2020. 8. 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