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엔비디아. 약 6개월여 1위 탈환 경쟁이 치열하다
시가 총액을 신경쓰는 것은 1등주에 포트폴리오의 상당부분을 할애하고 있기 때문
조던 룰 정리 - 세계 1등 주식에 안심하고 투자하기
* 최종 업데이트일 : 24.07.27조던 김장섭님의 저서 내일의 부, 부의 체인저, 지속적으로 기회 잡는 법 및 카페(cafe.daum.net/jordan777)의 글에 소개된 투자법을 기반으로 하되, 저한테 조금 더 맞는 방식
richhuman.tistory.com
시가 총액 순위 변화가 심하면, 포트폴리오 운용이 까다로워 진다. 그래서 3조 클럽에 모두 투자하는 방법을 택했다.
시총 2위는 NVIDIA (feat. 1등주 투자)
Nvidia closes above $3 trillion for first time, overtakes Apple as second-largest co. in US marketShares of Nvidia rose more than 5% Wednesday, pushing the company's market cap above Apple for the first time.finance.yahoo.com NVIDIA가 Apple을 제치고
richhuman.tistory.com
엔비디아의 변동성에 2.5% 단위 리밸런싱으로는 계좌가 녹을 것 같아, 엔비디아 한정 5% 단위 리밸런싱을 하지만, 최근 DeepSeek 여파로 1등 자리를 잠시 탈환했던 엔비디아의 주가는 하루 아침에 약 17%가 증발해버리기도 하고 리밸런싱으로 운용하기가 썩 편하지 않다.
NVDA 조던룰에 의한 리밸런싱시
아래 일간 변동율을 보면 NVDA 변동성이 상당하다. 이 때문에 조던님의 저서에서는 테슬라를 예로 들어 변동성이 큰 주식은 5% 하락시마다 자산의 10%씩을 현금화, 10% 상승시 재매수를 추천하였고,
richhuman.tistory.com
(현재 드는 고민)
1. 리밸런싱하는 비중 자체를 축소 운영해야할까, 하방을 최대한 막는다는 관점에 집중할까
2. 3개 기업의 비중을 조절해야할까? 원래의 1등주 투자 개념으로 돌아가야할까?
- AI의 트렌드에 있어서 애플 vs 마이크로소프트 & 엔비디아 상반된 모습 (e.g. DeepSeek 이후 애플+, 마소-, 엔비디아--)
- 3개 기업 비중을 유지한다면 2,3 등이 아웃되는 기준은? 1위와의 격차? 순위의 변화? 다른 요인?
3. 이 근간에는 DeepSeek. 오리지널 조던룰과는 달리 나스닥 일간지수 -3%가 뜨더라도 이미 전고점 대비 10% 이상 하락한 경우 팔지 않는 것을 개인적인 룰로 가져가고 있는데, 10% 이상 하락한 상태임에도 현금화를 진행. DeepSeek의 영향이 가늠이 안되기 때문에 우선은... (그 뒤 엔비디아를 1등주 그룹으로 묶어서 투자를 해야할지는 지켜보며..)
남은 현금은 파킹?
달러 현금성 ETF를 찾아보다 (달러 파킹형 ETF, BOXX)
두 개의 ETF를 볼텐데, 당연히 추천은 아니다. 달러 파킹의 용도로 국내 상장된 KOFR과 같은 역할을 할만한 것이 있을까 보았다. #1. SGOV미국 단기채 ETF인데, 결과적으로 한 달 가량의 단기 파킹용
richhuman.tistory.com
'투자 >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ServiceNow(서비스나우) Financial Results - FY24 (1) | 2025.02.02 |
---|---|
ServiceNow(서비스나우) IR - 4Q 24 (0) | 2025.01.31 |
Microsoft(마이크로소프트) IR - FY25 Q2 (0) | 2025.01.30 |
공포탐욕지수 설명(Fear and Greed Index) (1) | 2025.01.29 |
미국 주식 시가총액 상위 32개 기업 (25.1.29) (0) | 2025.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