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투자/신축 사업49

신축 건물 소유권 보존 등기 아래는 소유권 보존 등기시 요청받았던 서류들. 2023. 1. 26.
신축시 급수공사비(상수도인입비) 세금계산서 발행? 22년 2기 부가가치세 확정신고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세무사님께서 전자세금계산서로 발행이 안 된 것들 챙겨달라고 하셔서 챙기다 보니 상수도인입비 관련한 세금계산서가 없었습니다. 하반기에 시공사에 지불한 것 외에 가장 큰 비용이 들어간 것이 상수도인입비(급수공사비)인데! 전기 인입비에서 한 번 겪은터라 상수도도 세금계산서를 직접 신청을 해야하는구나하고 생각했는데 수돗물은 면세라고 합니다. 2022.10.05 - [투자/신축 사업] - 한국전력 - 표준시설부담금 전자세금계산서 도시가스, 전기인입비는 세금계산서 발행 O 상수도 인입비는 세금계산서 발행 X(가스는 시공사 통해 서울도시가스에 세금계산서 발행 요청, 전기는 직접 발행 요청했음) (아래 링크 글 중 발췌)O 부가가치세법 제12조「면세」① 다음 각호의.. 2022. 12. 28.
신축 과정 정리 #7 - 발주 전 스펙 확인 및 간판 로고 결정 개인적인 부침을 많이 겪은 두 달여입니다. 아랑곳하지 않고 현장은 돌아갑니다. 은행에서도 이자는 꼬박꼬박 빠져나가고요^^ 잘 돌아간다고 생각했는데, 예정 공사기간보다 한 달 정도는 지연이 된 것 같습니다. 11월에 외부 단열재를 붙이기 시작해 12월 초에 외장재까지 마감이 되었습니다. 그래도 큰 문제없이 나아가고 있음에 감사하고 있습니다. 현장 사진 일부 함께 첨부합니다. 11월에는 아래와 같은 항목들 시공이 되었습니다. - 외부 단열재 - 지붕 판넬 - 외부 스터코 마감 - 계단/복도 대리석 - 화장실 타일 그리고 도시가스와 수도 인입비가 나갔는데, 상수도 인입 공사비용이 꽤 많이 들었습니다. - 도시가스 인입비 (57만원 가량) - 수도 인입비 (990만원 가량, 인입 공사전 납부되어야함) 1층 복도.. 2022. 12. 21.
처마홈통 / 빗물받이 시스템 - 매립하면 안 될까? 외장재를 마감할 즈음에 시공사에서 처마홈통을 설치해야한다고 하며 입면도를 주었다. 처마홈통이라는 용어가 낯선데, '빗물받이 시스템'의 일부다. 지붕에 떨어지는 빗물을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 그림의 거터가 처마홈통에 해당하는데, 당연히 다른 부속과 같이 설치가 되어야한다. 비나 눈이 많이 오는 경우, 비가 흘러내린 바닥이 파이거나, 벽면을 오염시키길 수 있기 때문에 설치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기능적인 이유로 필수적인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는데 미관적으로 플러스 요인은 아니어서 어떻게 미관적인 부분을 잘 커버할지 관건이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hn?volumeNo=29276117&memberNo=954004&vType=VERTICAL 전원주택 시공.. 2022. 12. 6.
신축 과정 정리 #6 - 내부 공사 및 외부 마감재 결정 10월에는 본격적으로 내부 공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그간 잘 방문하지 않던 현장도 눈에 보이는 것들이 진행되기 시작하니 자주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TK 엘리베이터 10월에 작업한 것들은 아래와 같습니다. - 방통 (방바닥 통미장) 작업 - 내부 미장 - 에어컨 공사 - 전기 공사 - 엘리베이터 공사 - 목수 벽천장 작업 - 창틀 철판 작업 외부 마감도 준비를 하며, 롱브릭 타일을 세로로 시공하는 것에 대해 시공사와 이야기를 많이 나누었습니다. 4층이 일조사선으로 약간 후퇴하기에 조금 더 애매하게 느껴졌지만 저는 세로 시공을 원했고, 시공사에서는 세로 시공에 대한 난이도가 높은 점, 제품 자체가 휜 부분이 있어서 울어보일 수 있다는 우려로 가로 시공을 권장하였습니다. 시공사의 의견에 해당 자재 업체 대표.. 2022. 11. 29.
신축 사업에 대한 기대와 현재 올해 초에 구옥을 매수하여 신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그 사이 자산 시장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습니다. 건축비 인상, 금리 인상, 전세 사기 이슈와 겹쳐 전세 수요 급감, 부동산 시장 전반적인 하락세 등등. 온갖 어려운 환경을 고스란히 마주하며 신축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기존 부동산 매도가 어려웠던 것부터 건축비 인상 등 많은 위험 시그널들을 너무 쉽게 흘려보낸 것은 아니었나 생각해보며, 처음 기대했던 것과 진행하면서 느끼고 있는 것들 정리해봅니다. # 주택 신축, 무엇이 매력적이었나 처음 신축 공부를 하던 2021년부터 조합원 입주권 매물 두 개를 내놓았습니다. 각각 2022년, 2023년 입주 예정이었기에 입주 전에 일반 과세로 매도를 하겠다는 생각이었죠. 매도 계획도 여유가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매도.. 2022.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