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1 외부계단과 바닥면적 외부계단 중 바닥면적에 산입이 안 되는 조건은 무엇인가 궁금해 관련 자료를 조금 더 찾아보았다. 신축시 잘 활용하면 용적율을 최대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기에 알아두면 좋을 것 같다. #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 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에 건축면적과 바닥면적에 관한 것이 명시가 되어있고, 건축면적 = 건폐율, 바닥면적 = 용적율에 영향을 미치는 면적으로 생각하면 된다. https://www.law.go.kr/%EB%B2%95%EB%A0%B9/%EA%B1%B4%EC%B6%95%EB%B2%95%EC%8B%9C%ED%96%89%EB%A0%B9 제119조(면적 등의 산정방법) 2. 건축면적: 건축물의 외벽(외벽이 없는 경우에는 외곽 부분의 기둥으로 한다. 이하 이 호에서 같다)의 중심선으로 둘러싸인 부분의 수평투.. 2022. 11. 3. 다중주택 - 쉐어하우스 활용 사례 그리고 딴 생각 소개할 건물은 2020년 준공된 건물로, 당시 여러 월간지에도 소개가 되었던 건물이다. 최근에 블로그를 통해 접하게 되었는데, 다중주택이 잡지에 소개되는 경우가 드물어서 더욱 관심이 갔다. 외관부터 눈에 확 들어온다. 주택이라는 느낌이 잘 들지 않는다. 파이프 난간으로 반노출된 형태의 외부계단을 사용했다. 외부계단이 벽, 샤시 등으로 구획되지 않으면 끝선으로부터 1m는 바닥면적에서 제외가 되는데, 본 건 같은 경우는 어떻게 해석이 될까 궁금하다. - 파이프난간을 단순 난간으로 볼 것이냐 벽으로 볼 것이냐. 이것도 지자체마다 다를 수 있는가 등등. 가볍게 알아본 것으로는 지자체 담당자와 협의 가능한 영역에 들어갈 것 같다는 의견. 망원역에 인접한 곳으로 2018년 6월에 21억 7,600만원에 (평당 3.. 2022. 11. 2. 2022.10.21 이후 잔금전 용도변경 또는 멸실을 고려한 매매계약시 주의 신축을 위한 주택을 매수시 취득세 중과를 피하기 위해 잔금 전 멸실이나 용도변경 등을 고려했습니다. 그런데 10월 21일부터는 기재부 유권해석에 변경이 생겨서 잔금일 현황상 주택이 아니면 매도인이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못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아래 블로그서 미네르바올빼미님 언급하셨듯이 멸실과 용도변경을 다르게 볼 여지도 있겠으나, 잔금일 기준 주택이냐 아니냐가 더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미네르바올빼미님께서 기재부 문의하시고 또 포스팅하신다네요^^ 1세대1주택 매도자는 비과세 혜택이 사라지나 매도자가 다주택자라면 오히려 양도세 중과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을지 궁금하기도 합니다. 단독 주택같은 경우 1세대1주택인 경우가 더 많을 것 같기는 하지만, 상급지에는 다주택자 매물도 있겠다 싶습니다. http.. 2022. 10. 25. 테라로사 판교 2022. 10. 25. 신축시 매도가능한 금액은? - 아주 러프한 생각 신축시 사업성이 있느냐를 따지는 것도 의미있지만, 과연 매도가 가능한가가 궁금했습니다. 수익률을 맞추면 매도가 된다라고 말하지만 꼭 그런 것만도 아닌 것처럼 보였기 때문입니다. 보던 영역이 단독/다가구인지라 단순히 이들은 매도가 어렵다라고만 판단을 하고 있었는데, 건물/빌딩의 영역도 마찬가지인 것 같습니다. 아무래도 거래 금액대가 커지니 거래 사례가 적은 것 아닐까 추측합니다. 경험해본 적이 없는 영역이라 어떻게 매도가 되는지/ 어느 정도 수준이면 매도 가능한지/ 잘 팔리는 물건은 어떤 것인지를 알고 싶었습니다. 이에 대한 아주 러프한 대답 중 하나를 얻은 것 같습니다. (하나라고 이야기한 것은 이것이 유일한 답이 아닐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평당 토지가격이 2500만원인 곳과 6000만원인 곳을.. 2022. 10. 24. 큰 베팅을 하려면 '안티프래질'한 구조를 만들어야 나심탈레브의 안티프래질이란 책은 손이 가지 않아 읽어보지 못 했는데, 안티프래질의 개념에 대해 설명한 좋은 유튜브 영상이 있어 공유합니다. 예전에 읽었던 과 계속해서 연결이 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에서 얘기한 "비대칭적 레버리지"가 안티프래질과 거의 같은 개념입니다. 아래 포스팅을 한 번 같이 읽어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부의 원칙 - 삶 속에서 추세를 찾아라 부의 원칙 - 래리 하이트 저 (2020년, 한빛비즈) # 느낌 강환국 님의 에서 추천 도서로 나온 책이라 읽었는데, 유명한 '추세 추종 트레이더', 래리 하이트가 저자이다. 원 제목은 인데 추세추종 트레 richhuman.tistory.com 프래질은 상단이 막혔는데 하단이 열린 구조이고, 안티프래질은 하단이 막혔는데 상단이 열린 .. 2022. 10. 22. 이전 1 ··· 16 17 18 19 20 21 22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