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320 PCI, PDI, PKO가 합병한다면 (Income funds) PIMCO의 자매(?) 펀드인 PCI (PIMCO Dynamic Credit and Mortgage), PKO (PIMCO Income Opp )가 PDI (PIMCO Dynamic Income)로 합병을 추진중이다. finance.yahoo.com/news/pimco-closed-end-funds-announce-020900324.html 모두 2013년에 런칭 이후 세 펀드 모두 주가 움직임은 거의 비슷한데, PDI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에 거래되어왔다가 코로나로 하락폭이 가장 컸다. 합병시의 영향과, 분배금은 어떻게 될지 분석한 글이 있어 가져와보았다. (PCI를 투자하고 있는 관점에서 궁금한 포인트들 위주로 가지고 왔다.) 원문: seekingalpha.com/article/4423076-pimc.. 2021. 5. 20. CEF (Closed-end fund) 활용해 투자를 고려한다면 높은 배당율 때문에 Income 투자 전략을 위한 상품으로 CEF를 고려하는데, ETF 또는 전통적인 mutual fund와 어떻게 다른지, 어떻게 운용이 되기에 높은 분배금을 지급할 수 있는지 궁금하다. CEF를 검색해보면 대부분 "중도 환매가 불가능하다"라고만 설명하는데, 그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도통 알기 어렵다. 주요 펀드 운용사 사이트에 소개된 설명을 읽고 정리해보았다. # CEF의 장점블랙록에 아래와 같이 장점을 설명한다. 이를 이해하려면 closed-end 와 레버리지를 알아야한다. # "Closed-end"라는 기본적인 의미펀드는 IPO(초기 공모)를 통해 투자자를 모집한다. IPO로 모은 투자금으로 증권을 매수해 포트폴리오를 구성/운영한다. Open-end fund라면 매일 1회 환매할.. 2021. 5. 19. 주택임대관리업자 관련 내용 발췌 최근의 공실 때문에 주택임대관리까지 한 번 알아보았다. 자기관리형으로 맡기면 임대관리업체에서 나에게 월세를 지급해주고, 업체에서 알아서 임차인을 들이는 방식이다. 그래서 주로 보증금을 굉장히 낮게 잡고 월세를 지급한다. 한편으론 공실에 대해 신경 안 써도 되니 가격이 적당하다 생각되면 고려할만하다고 생각한다. 주택임대사업자의 경우 주택임대관리업자와 계약시 위수탁 계약서를 어떻게 작성하는지 (계약의 주체가 누구인지가) 궁금해서 찾아보았는데 자세한 내용은 안 보였다. 생활법령정보에서 관련 내용을 조금 추려보았다. # 주택임대관리업이란? 민간임대주택에 관한 특별법 제2조제10호 10. “주택임대관리업”이란 주택의 소유자로부터 임대관리를 위탁받아 관리하는 업(業)을 말하며, 다음 각 목으로 구분한다. 가. 자기.. 2021. 5. 11. 인천 부평구 부개동 일원 둘러보기 (21년 5월의 첫 날) 인천 오피스텔이 4년만에 첫 공실을 맞았다. 그간 공실없이 임대가 잘 맞춰져서 안이하게 생각하고 너무 늦게 내놓은 탓일지. 집 상태도 점검하고, 청소할 겸해서 들렀다. 오랜만에 들르는 인천은 수인선이 개통되어 이동이 한결 수월해졌다. 지상철 구간에선 따스한 햇볕을 받으며 책을 읽으며 이동하니 좋다. 이 날은 시간 여유도 있고 날씨도 좋아 산책 겸해서 좀 둘러보기로 했다. 굴포천역 주변의 재개발 구역에 관심이 있었어서, 가본 적없는 부평구청역~굴포천역~부평역까지 가볍게 둘러보았다. 10년 이내 아파트라고는 '래미안부평'(2014년 입주) 뿐이다. 7호선 남측과 1호선 주변으로 신축 아파트들이 들어섰거나, 들어설 예정이다. 부평구청역의 래미안부평, 1호선 부개역의 부개푸르지오(2010년 입주) 모두 네이버 .. 2021. 5. 8. 상가주택 취득세 산정 방법 상가 주택의 경우 취득세 산정시 어떻게 계산할까? 주택분의 경우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분이 있어서 궁금했는데, 미네르바올빼미님 포스팅을 통해 대부분 단순 안분한다는걸 확인했다. blog.naver.com/khr1265/222308215381 【취득세 중과】 계약 당시 주택이었으나 잔금일 전 멸실한 경우 취득세 중과 여부 안녕하세요. 여러분의 세금지킴이 미네르바올빼미입니다.2020.8.12. ... blog.naver.com 주택의 취득가액 = 전체 취득가액 * 주택과 부수토지의 시가표준액 / 건물과 부수토지의 시가표준액 합계 - 주택과 주택분 부수토지의 시가표준액 합 = 개별주택공시가격 --> 부동산공시가격알리미(주택) 로 확인 - 상가분 시가표준액 = 건축물 시가표준액 --> 위택스로 확인 (서울은.. 2021. 4. 27. 애플을 고점에만 매수했다면 얼마나 버텨야했을까 애플을 매수해서 고점에 물렸다면 얼마나 버텼어야했을까? 궁금해서 차트를 러프하게 살펴보았다. (차트에서 눈대중으로 본 것이라 시점과 수치가 조금은 틀어질 수 있기에 러프하게라고 이야기했다. 대략 흐름을 보는데는 문제없을 것이다.) 각 Bar가 각기 전고점 / 다시 전고점을 회복한 시점 / 전고점~ 다음 고점까지의 수익율이다. - 전고점을 회복하기까지 오래 걸리면 2년 가까이 필요하다. = 고점에 매수해도 2년 동안 버티면 된다. . 이것은 1등주는 우상향한다는 전제를 한다. (해당기간 동안 애플이 1등주였다.) . 1등주가 바뀐다면? 모른다. - 고점에 매수해도 존버하면 수익율은 나쁘지 않다. 수익율이 가장 낮은 구간인 2012년 9월 매수를 가정해도 3년 (2012년9월~2015년5월) 수익률은 대략 .. 2021. 4. 26. 이전 1 ··· 32 33 34 35 36 37 38 ··· 5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