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4.13 삼프로 방영분의 환율 부분 요약입니다.

기준 금리 인하 여부에 대한 기대감이 환율의 변곡점을 만드는 장세인데, 금리뿐 아니라 환율도 Higher for longer로 갈 수 있지 않을까 하는데 대한 오건영님의 인사이트.
통화의 가치 = 성장 + 금리
달러의 가치 = 미국의 성장 + 미국 금리
미국의 성장이 견조함 --> 금리의 higher for longer가 지속되면 미국의 성장이 약해질거야 --> 미국의 성장이 약해지면 금리도 내려갈거야 --> 결국 달러 가치도 내려갈거야가 일반적인 관점.
허나, 미국 이외의 국가까지 관점을 확대하면, 즉, "금리의 higher for longer가 지속되면 미국이 힘들겠니? 다른 나라가 더 힘들겠니?"라는 질문을 던져볼 수 있음. 미국은 지금도 성장이 견조한데, 미국 외 국가들이 더 힘들어지지 않을까? 미국이 상대적으로 성장이 강하지 않을까 = 달러 강세
재정적으로는 유동성이 풍부한 상황에서 스마트 머니는 higher for longer가 지속되도 살아남을만한 쪽으로 자금이 흘러가지 않을까? 그곳은 미국 아니겠니?
그리고 미국 외 국가가 금리를 인하하면 달러가 강세를 보일테고, 금리 인하를 안하면 해당 국가의 성장이 둔화되고 미국과 성장 갭이 커질테니 달러가 강세를 보일 것. 이러나 저러나 달러가 강세가 될 추세. 미국이 성장이 꺾이고 non-US 성장이 올라올 때 달러 약세가 될 것인데 좀체 그럴 구석이 안 보이는 듯

환율의 장기 추이도 보면, 2010년대 이후로 3자리로 간 적이 없어....최근 기본적인 밴드(1250원~1370원)가 다소 상향되어있고, 예전보다 대미 수출 의존도 커져. 미국 성장이 꺾이면 우리도 타격입는 형국이라 강달러가 외환 시장에서의 뉴노멀로 보아야하지 않을까 하는 시각도.

* 골드만삭스 리서치 (번역):
Goldman Sachs Research의 Isabella Rosenberg에 따르면 미국 달러는 2023년에도 그 가치를 유지하기 위해 탄력적인 글로벌 성장을 견뎌냈습니다. 그리고 이 이야기는 2024년에도 비슷할 수 있다고 합니다.
이것은 다소 특이한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강력한 성장 환경에서 달러는 더 위험한 것으로 간주되는 국가의 통화보다 낮은 성과를 낼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2023년 미국 경제 스토리는 경제가 연초 컨센서스 성장 추정치 0.4%를 훨씬 능가하는 2.4% 속도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등 뛰어난 성과를 거두는 것 중 하나였습니다. 이러한 배경과 유럽 및 중국의 경제적 어려움을 고려할 때 "국경 간 자금 흐름의 대부분이 미국으로 향하는 것은 놀라운 일이 아닙니다"라고 Rosenberg는 말합니다.
Goldman Sachs Research는 2024년을 전망하며 미국의 성장률을 2.1%로 예상하는데 , 이는 두 배의 합의된 기대치입니다. 이러한 환경은 외국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미국 자산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을 조장할 수 있습니다.
Rosenberg는 "위에서 아래로 달러 가치 하락을 예측하는 것이 설득력이 있을 수 있지만, 2024년 미국의 뛰어난 성과는 달러 수요가 계속 높아야 함을 의미합니다."라고 Rosenberg는 말합니다.
Why the US dollar could stay strong through 2024
The US dollar withstood resilient global growth to maintain its value in 2023 – and the story could be similar in 2024, according to Isabella Rosenberg of Goldman Sachs Research. This is somewhat unusual. Typically in environments of strong growth, the d
www.goldmansachs.com
<같이 보셔도 좋을 글>
2023.06.18 - [투자/주식] - S&P500에 관심 가지는 이유와 추가 상장된 S&P500 ETF
S&P500에 관심 가지는 이유와 추가 상장된 S&P500 ETF
작년 7월 포스팅시 환헷지 ETF가 많지 않았는데, 신규로 상장된 환헷지 ETF들이 있어 정리합니다. 그리고 S&P500에 관심을 가지는 이유에 대해 짧게 생각을 정리해보았습니다. 국내상장 S&P500 환헷지
richhuman.tistory.com
2022.07.09 - [투자/주식] - 환율 감안시 원화 수익률과 달러 수익률의 차이
환율 감안시 원화 수익률과 달러 수익률의 차이
1월경 대부분의 미국 주식을 정리한 후 다시 미국 주식을 투자하고 싶으나, 환율이 높다고 생각했던 당시보다도 8~9% 환율이 오른 상태라, 미국 주식에 대해 투자하기가 망설여진다. 그래서 싼 구
richhuman.tistory.com
'투자 > 일반'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의 확신은 어디에서 올까? (0) | 2024.11.19 |
---|---|
지속 가능성에 대한 이야기 (0) | 2024.09.07 |
창업박람회 / 토크콘서트 요약 (홍석천,이원일) (1) | 2023.01.07 |
큰 베팅을 하려면 '안티프래질'한 구조를 만들어야 (0) | 2022.10.22 |
사업자 현금영수증 가맹점 가입 의무 (0) | 2021.12.03 |
댓글